경로 잡는 데 구글맵 정말 잘 되어있습니다.
정부도 아닌 일개 기업이 이런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것에 찬사를 보냅니다.
팔 씨름을 할 때 팔의 각도를 좁혀야 힘을 쓰기 편합니다. 그래서 잡은 손에 대해서 그리고 자세에 대해서 굉장히 많은 신경을 쓰게 되죠. 시작 전에 판가름이 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판 이란 말은 영어의 플랫폼(platform)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웹 2.0의 키워드 중에 플랫폼이 있었고, UCC가 그 플랫폼 위에서 각광을 받았습니다.
구글이라는 회사가 시작할 때는 이미 검색엔진 시장이 포화 상태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야후, 알타비스타, 라이코스, 인포시크 등의 검색엔진들이 포진한 상태에서 황당한 진입구 하나만 가지고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제 기억에는 검색 엔진이 빠르다는 표시로 검색 결과 페이지의 검색 완료 시간을 표시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검색을 한다는 영어단어로 구글링한다는 표현이 나온 것은 오래 걸리지 않았습니다.
G마켓이라는 회사가 구스닥(Goodstock)일 때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많이 없었습니다. 지하철에 "G"라는 영문자 이니셜로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갖게 하는 마케팅을 했을 때 혹시 구글이 국내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는 게 아닌가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쇼핑몰의 판을 벌여 놓고 파는 사람들과 사는 사람들을 연결해 주는 서비스를 키웠습니다. 이것을 오픈 마켓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경매 사이트인 옥션 마저도 오픈 마켓으로 돌아섰습니다. 옥션에서 요즘 경매를 하는 사람은 아주 드물어졌다고 합니다.
네이버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인터넷, 아니 컴퓨터를 모르는 분들도 TV광고에서 반복적으로 연두색 네모 박스에 길들여졌습니다. 네이버에서 땡땡땡을 검색하세요 라고 말이죠. 스펀지라는 프로그램에서 똑똑한 사람들은 네이버에서 정보를 찾는 것으로 비쳐졌습니다.
판의 존재의미는 가치획득입니다. 그것이 용이한 곳이라면 사람들은 모여들게 되어있습니다. 현재 판을 분석하고, 새로운 판을 생각하고 시도하는 것, 그래서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것. 이것이 마케팅(marketing)입니다.
관련글 : http://okjsp.tistory.com/tag/openapi
WoC(Winter of Code)에서 함께 할 파트너가 정해졌습니다. 돌아오는 토요일에 처음 만나게 됩니다. 함께 진행하지 못하는 네분의 신청자분들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전합니다. 이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프로젝트 홈페이지(http://code.google.com/p/shopgallery)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뭐가 좋을까요.
공짜? 아닙니다. 아무도 공짜로 기술을 익힐 수는 없습니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갑니다. 매뉴얼도 부실합니다. 기술지원? 인터넷을 통해서 찾아봐야하고 영어와 싸워야됩니다.
오픈소스는 소통의 방법입니다.
http://code.google.com/p/daysago 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공개를 했습니다. 적용사이트는 http://www.okjsp.pe.kr 이죠. 날짜 표기를 몇일전(days ago)처럼 표시합니다.
어느날 버그리포트를 받았습니다. 한달 전을 지나면 날짜 표기가 이상해진다는 내용이었죠.
추가된 테스트 코드
실패한 테스트 코드
브레이크 포인트 걸기
의심이 가는 곳에 브레이크 포인트를 겁니다. 그리고 디버깅을 시작해야겠죠.
start Debug
변수 정보
디버그 퍼스펙티브에서 우측상단의 Variables 뷰를 보면 변수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코드 변경
day변수값이 먼저 조건에 걸리기 때문에 hour값에 의존해서 처리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즉 hour를 날짜로 환산한 값이 30보다 작을 경우 day == 1 과 day == 2 가 어제, 그저께로 나와야 되는 것이죠. if 안으로 집어넣으면 될 것 같습니다.
테스트 재실행
테스트를 다시 돌립니다. JUnit 뷰의 툴바 중에서 5번째 있는 노란 화살표가 있는 플레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됩니다. 녹색 바가 나오는 것을 보니 기대한 값이 나왔네요. 제대로 디버깅 되었습니다.
Regression Tests
프로젝트 패키지
export type 선택
압축형태이기 때문에 zip이라고 필터 텍스트를 입력하지 마시고, ar을 입력하면 Archive File로 나옵니다. 프레스로 꽉꽉 누르는 아이콘 보이시죠.
배포판 등록
배포판을 등록합니다. http://code.google.com/ 에서 프로젝트 관리자나 회원이면 파일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배포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