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폭스의 파이어버그나 ie의 피들러 또는 상용인 httpwatch 등을 통해서 웹브라우저에서 일어나는 통신의 안 보이는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헤더 영역의 정보 같은 것이죠.
이클립스 WTP에서도 같은 기능을 지원합니다. TCP/IP 모니터뷰를 이용하면 지정된 포트에서 발생하는 교신 정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다음과 같이 Preferences 에서 tcp 필터 단어를 입력하면 메뉴가 보입니다.
Add 버튼을 클릭하고 상단의 Local Monitoring port 를 8090 등 사용하지 않는 포트를 입력합니다. 모니터링할 서비스 정보를 입력합니다. 로컬의 톰캣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localhost 포트는 8080 이라고 입력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4_9_17_13_blog12234_attach_0_17.png?original)
등록을 마치면 해당 모니터링 항목을 선택하고 우측의 Start 버튼을 클릭해서 모니터링을 시작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4_9_17_13_blog12234_attach_0_19.png?original)
모니터링하는 포트로 호출을 합니다. 8090이라고 정했기 때문에 http://localhost:8090/index.jsp 주소로 접근하면 TCP/IP Monitor 뷰가 자동으로 뜨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4_9_17_13_blog12234_attach_0_18.png?original)
TCP/IP Monitor 탭을 더블클릭해서 크게 확대해서 보면 서버로 요청한 주소 목록과 선택한 주소의 헤더 정보와 주고받은 내용들이 하단에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2/4_9_17_13_blog12234_attach_0_16.png?original)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이미지도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4_9_17_13_blog12234_attach_0_10.png?original)
유용하게 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