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제안서 제출 하루 전날 오후 7시반 비행기를 타고 홍콩으로 떴습니다. 오라클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커뮤니티 리더 회의가 있었기 때문이죠. 물론 OKJSP때문에 간 것은 아니었습니다. JCO Korea라는 이름으로 JCO의 활동내역에 대한 10~15분간 발표가 있고, (ㅡㅡ; 영어로) 제가 했습니다. 자바 커뮤니티는 JCO가 유일했고, 10여개의 커뮤니티들은 모두 오라클 관련 제품의 커뮤니티였습니다. 제가 나이가 제일 어린 편이었습니다. 커뮤니티 리더들 모두 50~60 정도 되어 보이셨습니다. 비영리로 운영하시고 계셨지만, 커뮤니티 자체가 생계로 활동하시는 분들도 여럿 보였습니다.
첫 날은 호텔에 콕 박혀 있었고, 호텔방에 쳐 박혀서 업무 본다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체험했습니다. 빌어먹을 인터넷 때문에 제안서 작업이 가능했습니다. ㅡㅡ; 물론 우리팀 에이스 덕분에 오프라인 역할은 그 분이 구원투수가 되셨죠.
둘째날 행사는 오라클의 제품 라인업과 썬 제품군과의 상생에 대해서, 예를 들면 JDeveloper와 NetBeans같은 중복 제품군, 희망적인 발표를 들었습니다.
2시간 정도 행사 마무리하고 4시에 호텔 밖으로 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오라클에서 오신 분과 함께 쇼핑의 거리를 다닐 수 있었죠.
2시간 쯤 돌다가 해발 11m 정도에 있는 쇼윈도우에 다소곳이 있는 아이패드를 봤습니다. 매장으로 들어가서 함 보자고 했습니다. 질렀습니다. 카드결제 한도 초과입니다. 대박, 돌아가면 3달동안 아이패드 못 만진다는 생각에 실례를 무릅쓰고 오라클 그분에게 대신 결제를 부탁드렸습니다. 홍콩달러 $5,800 한화로 87만원입니다.
미화 $499 세금 더해서 $550 이면 대략 배송비 7만원 쳐도 77만원인데, 10만원 바가지입니다.
아이폰이 먹통이 되었다가 USB연결하고 껐다 켰다를 반복해서 간신히 살아났습니다. 개발자
버전 4.0beta의 버그 때문에 아이폰 사용 습관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we rule 건물 세우지 못하는 것과 echofon 못
쓰는 것 등 난감합니다. http://twitter.com/kenu/status/12541530473
option 키 누르고 "복원"버튼을 클릭해서 다운받은 ipsw 파일로 업그레이드 중입니다.
11월 28일부터 3월 5일 보도자료까지 발표된 아이폰의 개통수를 바탕으로 추정해봤습니다.
멋지게 도표로 만들지 못했지만, 구글을 통해서 검색(아이폰 10만, 아이폰 20만, 아이폰 30만, 아이폰 40만)한 결과에 대해서 뉴스 날짜로 추정해봤습니다.
물론 6월로 예상되는 애플의 새 제품 출시와 안드로이드폰의 마케팅 등 변수는 많습니다만 지금 속도로 아이폰이 개통된다고 하면 연말에는 아이폰만 90만대가 넘게 개통됩니다.
안드로이드가 200만대 이상 풀린다고 하면 300만대 이상의 스마트폰이 개통이 되겠죠.
모바일 컴퓨팅 세상에 너무 빨리 적응이 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