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 블로그에서 알게된 블로그 지인께서 번역하신 책이네요..
미국에서 박사과정 밟고 계시던데..
저한테는 내용이 많이 어렵지 않을까하는 고민이..^^;; -
-
-
bliss 2008.11.26 00:31
스피드레이서 짤방은 뭔가요? 머리크기가 왜케 차이가 나는거지? -0-;;
여튼 이곳저곳에서 이 책 너무 좋다고 다들 얘기해주셔서
요즘처럼 지치고 황량하며 상처받은 영혼에 크나큰 위로가 됩니다요. ㅎㅎ
고생한 보람도 느껴져서 나름 뿌듯하구요.
땡큐. 케누님.
그나저나 프로필 사진 쩜 바꾸세요. ^^
오늘 알려주신 쿨아이리스는 짱이었슴다.. --b
건스옵빠들을 한눈에~ 아훙.
팀문화
- [서적]'엔터프라이즈급 애자일 방법론'이라, 개발조직의 확장 2008.11.25 (10)
- E-Commerce Dev Day 2007 행사를 마치고 2007.12.08 (2)
- 20대 80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습니다. 2007.09.04
- 개발표준이 사용되기 힘든 이유 2007.06.16 (12)
- 아~, 우리 팀을 사랑하나 보다. 2007.04.09 (2)
[서적]'엔터프라이즈급 애자일 방법론'이라, 개발조직의 확장
E-Commerce Dev Day 2007 행사를 마치고

이러한 행사를 통해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열린 팀이라는 생각과 꿈을 꾸고 실행해 볼 수 있는 환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합니다. 사실 회사 생활은 밖으로 보여지는 것 보다 많은 일들이 내부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소문이 나게 되면 신규인력 채용 등에서 좋은 영향을 더하게 되죠. 그리고 유명무실이 되지 않기 위해서 내부의 인력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려는 자극제가 됩니다.
가을, 팀장님의 본격적인 실행지시가 내려졌고, 예산도 타내고, 장소도 알아보는 등 대략 2~3개월의 준비기간을 거쳤습니다. 내부 강사의 세션 준비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높은 팀장님의 수준에 맞춰서 다들 10여 번 정도 수정 발표하면서 발표내용을 다듬어 갔고, 그 수준은 다른 세미나 못지 않는 내용들이 되어갔습니다.
행사 운영팀으로 또 조직되어서 저녁 간식거리로 무엇이 좋을까 고민도 하고, 안내는 어떻게 할 것인가, 뒷풀이 장소의 좌석 배치는 어떻게 할 것인가, 사진은 누가 찍을 것인가, 등 수십여가지의 경우의 수를 다 고려해서 준비했습니다. 정말 고생들 많이 하셨지요.
등록페이지를 직접 만들어서 접수를 받고, 120명이 차기를 기대했었습니다. 다행히 등록 개시 4일만에 넘긴 것으로 기억합니다.
행사 당일 많은 분들이 와 주셨습니다. 아는 분들이 대략 25% 자리를 차지 하신 것 같더군요. 이 분들이 제가 썰렁한 농담을 해도 웃어주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말 고마워요. ^^
19시 10분에 정확히 시작해서 21시 15분에 모든 강의가 마쳐졌고, 뒷풀이 장소에서는 11시를 쉽게 넘겼습니다. 초대 강사였던 mepay님은 간만의 서울 행차로 선배 호출에 인사만 하고 헤어졌습니다. 강의시간이 짧아서 워밍업만하시다가 막바지에 속얘기가 나오시려했는데, 강의 하신 분이나 들으시는 분들에게 짧은 시간 때문에 누를 끼친 것 같아 미안했었습니다.
행사 마치고 야후!코리아의 정진호님이 번역서를 제가 선물로 주고 가셨습니다. Flickr Mashup 책인데, 많이 땡깁니다. ㅎㅎ
행사를 잘 마친 듯 해서 다행입니다.
그래서 기분 좋습니다. 자기 자리에서 열심히, 즐겁게 수고했던 우리 팀원들이 자랑스럽습니다. (아부 조금 섞어서) 소팀장님 좋은 기회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베스트 팀, 우리도 그거 할 수 있습니다.
20대 80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습니다.
파레토의 법칙이라고 하죠. 우월한 20% 그렇지 못한 80%
하지만 20%는 80%가 사라지면 다시 4:16 으로 나뉘어집니다. 세포분열이죠. 거기서 다시 우열이 만들어지죠.
20:80 원칙에서 20과 80 사이에는 부정할 수 없는 연결고리가 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진보적인 20과 보수적인 80 사이의 연결고리를 잘 이어야 원만한 프로젝트로 이끌 수 있겠지요.
팀을 최고로 이끌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인정하는 사회적 가치와 내부에서 동의하는 상향 타협점을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협업을 장려하는 많은 IT시스템이 있지만, 그것과 아울러 함께 일하는 동료간의 공명이 있어야 하겠지요. 어울림입니다.

그것을 고민하고 삽니다.
개발표준이 사용되기 힘든 이유
개발자 중에 똑똑한 사람들이 주로 들어가는 공통팀입니다. 이 팀의 코드들은 예술적이고 환상적입니다. 아키텍트가 될만하고 아파치 등의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도 열심히 합니다. 신기술은 모두 꿰차고 있고, 정말 훌륭한 개발자들이 모이는 팀이 주로 공통팀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에서 비즈니스 로직과 프리젠테이션 레이어의 삽질(HTML 태그 미아)을 하고 있는 일반 평범한 개발자들은 이런 좋은 코드들을 잘 모릅니다. 그렇게 똑똑하지 않고, 그렇게 부지런하지 않고, 그렇게 개발에 재미를 붙이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먹고 살기 위해서 프로젝트에 들어와 일하는 중입니다.
여기서 괴리가 발생합니다. 공통으로 짜놓은 것이 있지만 찾기 귀찮습니다. 샘플이라고 있기는 하지만 이렇게 짜나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짜나 그 시간이 그 시간입니다. 납기가 코앞입니다. 자기가 익숙한 대로 코딩을 합니다. 공통을 적용하려 하니 이런 경우는 안 된다고 합니다. 금방 안된다고 합니다. 또 자기가 익숙한 대로 코딩을 합니다.
어제 들은 바로는 구글은 개발방법론이 없다고 합니다. 오히려 개발 방법론이 교복이나 유니폼처럼 속박하는 것이 아닐까. 창의력 말살이라고 할까요. 많은 개발자들이 일할 때 필요한 것은 과연 무엇을까요. 그렇다고 아무런 제약도 없이 풀어놓고 개발하라고 한다면 코드 저장소는 돼지우리처럼 될 것 같네요. 진퇴양난입니다.

개발팀엔 개발 방법론, 개발 표준이 필요한 것이라기 보다 개발팀 문화가 필요합니다.
-
dazzilove 2007.06.17 18:57
공통관련파일을 몇십개를 만들어놓아도..
아주 잘 정리해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놓아도..
전파가 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 이더라구요..
오빠 말씀처럼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고..
이러한 문화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들어 놓은 문서 보고 하는것도 제대로 못하냐라는 어정쩡한 훈계보다는
새로운 이슈사항이 나타날 때마다 인식할 수 있도록
제대로 전파해주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다찌는 매번 이야기를 하지만..
아직 5년밖에 안된 햇병아리인지라.. 잘 안통하더군요. ^^;; -
-
-
kenny 2007.06.18 18:31
"오히려 개발 방법론이 교복이나 유니폼처럼 속박하는 것이 아닐까."
사실, 예전에 잠시 놀러갔을때 본 거지만.
사촌동생이 다녔던 학교(음... 미국 교포 2.5세이니까, 당연히 미국학교에 다녔죠.)에서도, 교복 혹은 유니폼은 있더군요.
다만, 우리랑 다른건, 유니폼이라는게, 특정 색상을 지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거라면 기성복을 입건 뭘 입견 상관 안하더군요.
개발방법론이라는게 말 그대로 유니폼/교복과 같은게 아닐까 싶네요. 여기까지는 Rule. 나머지는 편한대로. 솔직히 공통화된 어떤 코드를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곳 까지 강제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니까요. -
codikim 2007.06.22 17:29
저는 말그대로 먹기살기위해 프로그램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필요한 팀인데...
전파의 중요성....
표준이 늦게 나와 삽질을 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드문예라고 생각하구요...
암튼 그놈의 납기가 항상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
Max 2007.06.22 17:48
제일 쉽게 다가설수 있는것이 커뮤니케이션입니다.
하지만 제일 어려운것도 커뮤니케이션 인것 같아요.
특정기술에 대해 종속적인 기술을 사용한다면 배우면되지만,
특정문서를 읽어야 개발을 진행할수 있다면 하겠지만,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하지 않는 집단과 일하는것은... 불행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면, 그것을 잘하기 위해서 노력도 해야 하겠죠?
그노력도 않한다면 밥먹기가 힘들어 질지도....
그런데 그것(노력하는것)도 만만치 않은것 같아요.
고로 세상엔 쉬운게 없는것 같아요.
개발팀문화를 만드는것도 쉬운일이 아니고, 커뮤니케이션 잘하는것도 쉬운일이 아니니
결국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고 받아들여집니다. ^^
노력하는것 조차 하기 힘들다면???
아~, 우리 팀을 사랑하나 보다.
증거
1. 가장 오래 다니는 회사임. 하루하루가 신기록 2004년12월 이후 현재까지 계속
2. 내가 GS이숍 EC정보팀을 공공연하게 드러낸다.
3. 회사에서 OJT 교육할 때마다 "잘 오셨습니다." 라고 거리낌 없이 얘기한다.
4. 팀 내의 기술력에 대한 한 없는 신뢰가 있다. DB는 누구에게, Flash는 누구에게, flex는 누구에게, 업무A는 누구에게, 업무B는 누구에게, eclipse는 나에게 ㅎㅎ
5. 현업과 말이 통한다고 착각(?)하고 있다.
6. GS이숍과 GS이스토어 분위기는 다르지만 둘 다 좋다.
7. 어제도 ant 버전 1.7로 올리고 전체 메일 날렸다.
8. 팀 블로그 보고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