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들여다 보았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CVS에서 SVN으로 모든 프로젝트가 이전하는 것은 몇 년 전에 알고 있었는데, 오늘 책을 쓰다가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Apache Software Foundation)의 저장소를 보고 놀랬습니다. 백 개가 넘는 모든 프로젝트들이 한 저장소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별로 trunk, branches, tags 를 각기 관리하고 있습니다.
리비전 번호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숫자는 다르다는 것만 표시하면 될 뿐, 통합 저장소로 인한 리비전 번호의 증가에 괜히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톰캣 프로젝트 내에도 여러 서브프로젝트들이 존재합니다. 저장소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괜히 은근슬쩍 2002년이 떠오르는군요. 자카르타서울 프로젝트. 지금은 동면상태이죠.
http://www.apache-korea.org
리비전 번호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될 듯 합니다. 숫자는 다르다는 것만 표시하면 될 뿐, 통합 저장소로 인한 리비전 번호의 증가에 괜히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톰캣 프로젝트 내에도 여러 서브프로젝트들이 존재합니다. 저장소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괜히 은근슬쩍 2002년이 떠오르는군요. 자카르타서울 프로젝트. 지금은 동면상태이죠.
http://www.apache-korea.org
TAG apache,
branches,
OpenSource,
Repository,
SCM,
source,
Subversion,
SVN,
Tags,
Tomcat,
Tree,
trunk
댓글을 달아 주세요
별로 좋아보이지만은 않습니다. 일단 커뮤니케이션 하기 힘들죠.
"리비전 넘버 칠십일만팔천오백육십사번을 참조하셈"
"머.. 칠십...만 오백어쩌고..? 다시 불러주셈"
좀 지나면 백만 넘어가겠군요. 숨도 같이 넘어가겠습니다. 리비전넘버치다 오타도 많이 나고.. @@
정말, 번호가 후덜덜하군요!
그나저나, 저게 정말 좋은 구조인지 아니면 눈물을 머금고 어쩔수없이 선택하다보니 나온 구조인지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면 더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