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임신기간과 같은 것 같습니다. 다음과 같은 비유와 은유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 오픈일 - 출산예정일
  • 정상오픈 - 순산
  • 오픈 딜레이 - 난산
  • SI - 애 낳고 떠나는 씨받이, 또는 대리모
  • SM - 남이 낳은 애 키우는 유모 또는 보모
  • 아웃소싱 - 탁아소
  • 인하우스 - 능력있는 가정
  • 성능진단팀 - 산부인과 의사
  • 성장 과정 - 비즈 변경에 따른 소프트웨어 변경

프로젝트를 오픈하기 위해서 쏟는 기획, 디자인, 개발, 영업의 노력은 산고와도 같이 예측하기 힘든 어려움들을 각오하고 진행하는 듯 합니다. 뱃 속에서 커가는 아기를 위해 여러가지 진단을 하듯이 프로젝트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진행상황을 진단할 필요도 있겠지요.

개인적으로 중요한 것은 볼드체로 처리한 항목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OS 같은 박스 포장 제품 프로젝트와 다릅니다.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이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아기를 순산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잡는 것이 아니라 그 아이가 잘 클 수 있도록 옆에서 잘 키워주는 것이 궁극의 목표이지요. 그것은 바로 서비스가 잘 커갈 수 있도록 얼마나 많은 관심과 사랑을 쏟느냐가 관건입니다.

국내의 많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거의 미숙한 서비스를 낳는 것 같습니다. 인큐베이터가 필요한 아기 말이죠. 오픈일에 맞춰서 최초 과도하게 잡은 목표 스펙의 상당부분을 빼버립니다. 우리 애는 대통령 > 장관 > 판검사 > 의사 > 돈 잘 버는 사업가 > 공무원 > 평범하게 사는 1인이 될 거라고 목표 스펙을 줄여갑니다.

일단 오픈은 하고 줄였던 스펙을 다시 요구해서 뚝딱거리기 시작하죠. 소프트웨어에 스트럭처는 이미 많이 희생당한 상태입니다.

오랜만에 구글 어스를 설치해봤습니다. 오~ 많이 컸군요. 한글 지원도 잘 되고, 지원되는 기능도 유기적으로 잘 돌아갑니다. 남들이 하니까 우리 애도 이렇게 키워야 된다고 많은 부모들이 생각합니다. 너무 튀거나 다르면 잘 못 된 줄 알고 걱정부터합니다. 하지만 돈을 만들면 다릅니다. 스타크래프트 황제 임요환의 경우 남들 하는 대로 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있을 때 잘 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괜히 힘들게 아이 하나 낳아서 애처롭게 죽이지 말고, 사회에 좋은 공헌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잘 키울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아이와 마주한 사람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말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image from: http://www.saione.com/services_overview.htm

ps. Mythical Man Month에 나오는 얘기를 약간 변경해 봤습니다.
여자 9명 데려다가 너는 머리 낳고, 너는 오른팔, 너는 왼팔, 너는 오른다리, 너는 왼다리, 너는 몸통 .... 이렇게 한 달 만에 애 부속 만들어서 합쳐봐. 그럼 되지? 라는 식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들에 애도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