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하자면 제대로 된 기업의 소프트웨어를 원하면 사람을 잘 키우고 그에 맞는 대우를 해줘야 제대로 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서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아웃소싱으로 전문가를 영입해서 자사의 부족한 역량을 채울 수 있겠지만, 핵심적인 비즈니스 노하우를 외부전문가에게 맡긴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아웃소싱한 업체가 경쟁사에도 동일한 비즈니스 서비스를 복제할 경우도 있기에 자사에 만들어 놓은 서비스의 희소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사람을 키워도 그 사람이 성장하는 만큼 금전적 보상이 따르지 않으면 그 사람의 능력을 탐하는 돈 많은 기업으로 떠날 수 밖에 없습니다. 신입사원 시절 기술을 잘 배워서 업무적 성과나 팀내의 기여도가 보통 이상일 경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지불하는 월급 내지는 연봉의 상승이 있어야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고 조직에 남아있게 됩니다. 만약 그러하지 않다면 심한 좌절감 내지 이용당하고 있다는 생각에 조직을 떠날 기회를 찾게 됩니다.

SI,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ion)입니다. 왜 시스템을 통합할까요. 전사적 자원(Enterpise Resources)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효율적이라 함은 비용 대비 효과가 좋은 것을 뜻하는데, 매출 증가보다는 비용절감에 목표가 맞춰져 있다고 생각됩니다. 결국은 인력 고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울 것이고, 프로젝트가 완료하고 나면 많은 자리를 컴퓨터가 대신하게 되는 것이죠. 이런 프로젝트가 SI 입니다.

이런 프로젝트에 자사의 인력을 배치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더 이상 좋을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SI 프로젝트의 주변을 살펴보면 "인력 좀 구해봐"라는 소리가 아주 빈번하게 들립니다. Time to market, Time to market 해서 빨리 만들어서 서비스를 진행해야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한다고 합니다만, 구글이 그렇게 시장을 선점했는지는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습니다. 구글은 주식에서 번 돈으로 괜찮은 서비스들을 M&A 해서 영역을 넓혔다고 하는 것은 일견 맞지만 그게 다는 아닙니다. M&A에 능한 S모 그룹과 달리 구글이 그나마 잘 하는 것은 M&A한 서비스들의 Mashup입니다. 다시 국내 SI로 돌아와서 얘기하자면 국내 표준 프로젝트 개발기간은 2~3달입니다. 거의 기정사실화 된 것이죠. 설계와 아키텍트, 기획을 얘기하지만 한 큐에 모든 것을 다 날리기 위해서 전략적 접근보다는 일단 오픈하자라는 쪽으로 접근합니다. 고객 서비스를 위한 프로젝트라기 보다는 오픈했다는 성과지향적 숙제라고 할 수 있죠.

이렇게 각박하게 돌아가는 SI 시장에서 인간미를 찾기는 힘듭니다. SI프로젝트가 프로그래머의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전장(battle field)라고 얘기합니다만 살아남기 위해서 몸부림치는 프로그래밍 습관은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협력보다는 납기일을 지키기 위한 자기방어적 책임면피 습관이 되어버립니다. 다시 말하면 프로그래머의 Last Chapter(마지막 장->막장)일 수 있죠. 극도의 스트레스로 건강을 잃어버리거나 심지어는 죽음에도 이르게 합니다. 관련글: http://www.okjsp.pe.kr/tag/죽음

SI 프로젝트의 외주 관행은 없어졌으면 합니다. 유지보수 계약 대신 자사 직원으로 영입해서 책임감 있게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투입되면 좋겠습니다.

더 이상 국가 또는 금융권의 중차대한 프로젝트라는 말에 현혹되어 총알받이로 머릿수 채우기 위해 투입되는 SI 학도의용군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mage from : http://news.chosun.com/site/data/img_dir/2007/05/06/2007050600445_0.jp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