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

번역 지침서

kenu허광남 2004. 10. 5. 23:59

번역 지침서
대원칙: 영문 매뉴얼이 전달하려는 것을 독자가 얻어야 된다.
번역요령:
    0. 번역의 의의
        영어에 약한 개발자들에게 빠르고 정확하게 해당매뉴얼의 내용을 전달한다.
        자칫 영어 때문에 개발의 재미를 못 느끼고 제자리에서 맴돌거나 고생하는
        개발자동료, 후배들을 위해 봉사한다.
       
    1. 용어의 선택
   
        a. 모르는 단어는 http://dic.naver.com 이나 http://www.foldoc.org 에서
           검색해본다. IT 전문용어라 생각되면 http://www.google.co.kr 에서 찾아
           보아도 뉘앙스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b. 개발자들 사이에 익히 퍼진 용어라면 고집스럽게 해석하지 않아도 된다.
           Web 웹(거미줄 아님), parameter 파라미터("보조변수"보다 낫다), 등등
           번역용어가 의미를 흐릴 경우 한글 발음으로 써도 괜찮다.
           Context 컨텍스트("문맥"이라하면 더 헷갈림), package 패키지("꾸러미"라구요?)
          
        c. 대제목, 소제목의 경우 해석 구문 옆에 영문과 같이 표기해도 괜찮음.
           예) 표준 Realm 구현 Standard Realm Implementations
          
        d. 프로그래밍 예약어일 경우 해석하지 않는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대중적이고 정적이고 텅빈 메인(스트링[] 앍스)?
          
    2. 문맥이 해석되지 않을 경우
   
        a. 해석을 시도해보고, 이상할 경우 원문의 문단을 아래에 놓아둔다.
           지나가던 영어와 자바의 고수가 자비를 베풀어 주실지도 모른다.
          
        b. 해석되지 않는 문단에서 핵심적인 동사를 찾는다. 그 후에 주어를 찾는다.
           그리고 수식어들(형용사, 부사, 관계대명사 구문 등)은 일단 () 로 꽁꽁
           묶어 놓는다. 그리고, 다시 한번 시도해본다.
          
        c. 해석의 실마리가 잡히지 않을 경우 그냥 놔두고 다음 문단으로 넘어간다.
       
    3. 번역 기법
   
        a. 직역은 피한다. 원문보다 알아보기 힘든 경우가 생긴다.
       
        b. 주어나 소유격 대명사를 생략해도 좋을 경우가 많다.
           국어과 영어의 언어적 차이로 의미상 주어를 번역하지 않아도 된다.
           your web browser = 웹 브라우저 (당신의 웹브라우저; 어색하다.)
           his or her name = 사용자 이름 (그 또는 그녀의 이름; 역시 어색하다.)
        c. 물주 구문은 의역하는 것이 낫다.
           ^^; 아직 예를 못찾았음.

    4. 번역하는 시간
       
        a. 밥먹고 졸릴 때 잠깐 10분정도하면 확실히 잠들 수 있다.
        b. 퇴근 전에 프린터로 3장 정도 찍어서 전철이나 버스 안에서 이쁜 여자만
           쳐다보지 말고, 가끔 프린트물도 본다.
        c. 일주일 동안 아무것도 한게 없다고 느껴질 때, 경고 먹지 말고, 점심시간에
           다이어트 하는 겸 해서 번역한다. a4 한장밖에 안되는 분량.

 

from: http://www.okjsp.pe.kr/bbs?act=VIEW&seq=22466&bbs=krtomcat&pg=2